2016년 1월 6일
[마인크래프트] 스포너의 결함
일단 스포너 자체가 동작하긴 한다.
단지 문제가 있다면 몹이 내려오다가 죽는 소리가 난다는 점이다. 그것도 꽤 많은 숫자가 중간에 걸려서 죽는 것 같았다.
문제의 원인은 개폐장치로 달아놓은 트랩도어였다. 저 녀석이 열려있어도 구석에 약간 튀어나오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 낙하하던 몹이 걸려서 죽는 것이었다.
몹이 죽으니 이렇게 잔해만 떨어지는 사태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건 원하던 결과가 아니다. 주민좀비를 잡는게 목적인데...
그렇다면 개폐장치를 바꿔야 한다.
좀 깔끔하게 막아버리기 위해서는 끈끈이피스톤에 돌을 붙여서 문으로 쓰는게 좋을 것 같았다. 그렇다면 슬라임이 필요하다.
그래서 슬라임이 생성되는 위치를 찾아보기로 했다. 슬라임이 생성되는 곳은 슬라임 청크라 불리우는 지역이다.
슬라임 청크를 찾는 법은 어렵진 않다. 우선 맵의 씨드(SEED)를 찾아야 한다. /seed 명령으로 알 수 있다. 그러면 위 처럼 긴 숫자가 나온다.
그리고 구글에서 minecraft slime finder 라고 검색하면 아마도 제일 위해 슬라임청크 검색 사이트가 뜰 것이다. 여기에 위의 씨드 번호를 입력해 보면 슬라임 청크를 알 수 있다.
빨간점 찍혀 있는 곳이 대충 현재 위치하고 있는 청크이고 녹색 사각형이 슬라임 청크다. 예상외로 가까우 곳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청크라는 단어가 잘 이해가 안되면, 행정구역상의 '동'을 생각해보자. 청크(Chunk)는 맵을 특정 단위로 세분화 시켜놓은 단위로 동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 슬라임이 생성되는 곳은 역삼동이고 나는 신사동에 집이 있고 뭐 이렇게? ;;;
스포너 근처에서 좌표를 보니 정말 멀지 않다. 당장 찾아보자.
잠깐, 이거 우리집 중앙사다리가 위치한 곳이 가장 가까운 슬라임청크였다. 뭐 이런 경우가... 아무리 그래도 근처에서 슬라임 구경도 못 했는데...
일단 여기까지 파악했으니 나머진 다음에...
2016년 1월 5일
[그랑블루] 어 티켓이 왔네
정월 티켓이랑 700만 돌파 10연 티켓이 같이 왔네
그렇다면 같이 굴려주는게 인지상정
그 전에 미리 포기부터 하고
...
후훗
미리 포기했으니 이제 편하다
정월 티켓은 뭐 당연히
레어가 나오겠지
우라자나? 쟈나? 음...
10연티켓은 뭔가 많아서 좋아
최소한 스작재료가 쌓이지
훌륭해
자 미리 포기했으니
빨리빨리 나오거라
훗 미리 포기했다니까 왜 이러셔
해봤자 SR이겠지 뭐
거봐 SR이잖아
그나저나 왜 이 녀석이 SR이지?
음...
어?
야 잠깐,
기대 안했는데
..
남캐지만 냄새는 안날 것 같은 남캐야
우어!
원숭이의 해라고 사루난을 준 거야?
(일본어로 원숭이는 사루(さる)라고 읽는다)
어 이건 또 뭐야
헐 냄새는 날 것 같지만
인간 남캐 만큼은 아니야!
뭐지?
아무래도 지난번 레페 망쳤다고
선물을 준 것 같다
와아아
[마인크래프트] 지하대청소(?)
스포너가 동작을 하지 않는다. 아무리 기다려도 스포너에서 몹이 생성되질 않는다. 가장 중요한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것이다.
일단 구조물 자체의 문제라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여기저기 살펴봤지만 생성되어야 하는데 왜 안생기는 걸까.
이런 저런 검색을 해 보며 답을 찾아봤다.
한국어 검색어로 답을 구할 수가 없으니 결국 영어로 검색하게 되었다. 어찌되었건 유력한 원인을 하나 찾을 수 있었다.
"스포너 근처에 동굴 등등 몹이 생성될 만한 공간이 많다"
이런 젠장... 의심가는 곳이 바로 아래에 있다.
이 땅 밑은 거대한 빈공간이다. 이전의 땅메꾸기 일기들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정말 빈공간 투성이다. 촛불을 빼곡히 설치하긴 했지만 종종 클리퍼가 생성되기도 하는 그런 공간이다.
아무래도 이 빈공간이 문제의 원인이라 생각되었다.
그래서 지하세계를 청소하기로 했다. 위 처럼 지하로 가는 문을 만들고 사다리를 설치했다. 한동안은 청소를 좀 해야 할테니까.
최대한 지하세계를 메꿔야 한다는 말이 되는데 그건 불가능하다. 아니 무지막지하게 귀찮고 수고가 많이 필요한 일이다. 치트가 필요해 치트가! 하지만 여긴 순수 서바이벌 세계야. 반칙은 허용되지 않지.
그래서 그냥 구석구석을 깔끔하게 메꾸는 정도로 하기로 했다. 중간중간 작은 공간은 메꿔버리고 지저분한 구석 지역을 돌로 마무리 하였다. 이렇게 하면 빈공간이 좀 줄어들테니까.
진행 도중 돌이 떨어져서 나와봤더니 드디어 첫 몹이 스폰 되어서 떨어져 있었다. 드디어 동작을 하기 시작했다.
일단 이 정도 메꿔놓고 중단하기로 했다. 할 때 마다 내가 이 짓을 왜 하는지 이해를 못 하겠다. 그런데 또 하겠지.
2016년 1월 4일
[그랑블루] 포기하면 편... 음?
만약 이 가챠티켓이 루피가챠 쪽이 아니었다면 쌓아뒀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티켓임에도 루피쪽에 있다는 이유로 그냥 막 소모해도 손해볼 것 같지가 않다.
물론 큰 기대는 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3/3 100% 레어가 나왔으니.
어 잠깐, 나 기대 안한다고 했는데 이게 뭐야. 어.......
어......
...
음?
스톤골렘?
젠장 기대하지 말걸!
...
괜히 기분만 나빠졌다.
[마인크래프트] 스포너 확장공사
역시 스포너의 효율을 끌어 올리려면 기능을 하는 시설을 늘려갈 수 밖에 없다. 뭐긴 뭐야 노가다 해야지.
스포너를 한층 더 쌓고 있다. 그나저나 이거 스포너가 커지면 커질수록 해체의 부담감이 늘어가게 되니 참 이리저리 골치아프다.
내가 왜 이 짓을 하는거냐.
물론 아랫층과 같은 모양으로 쌓고 있다. 단지 트랩도어가 금방 떨어져서 나무 캐고 트랩도어 만드는 동안은 다시 내려가야 한다는 점이 시간을 더욱 소모하게 만들 뿐이다.
이런 시설에서 빠져나올 구멍 없으면 정말 괴롭다. 특히 나처럼 폐쇄공포증이 있다면 말이지. 그래서 항상 사다리를 챙겨다닌다.
2단계 스포너 완성. 과연 쓸 만 할까?
물론 시험을 해 봐야 알 일이다.
2016년 1월 3일
[그랑블루] 오늘도 뽑... 크윽
오늘도 뽑아보자
정월 특별 가챠 티켓
오늘도 나왔다
레어!
우왕 +1이 붙었네
죽인다
히히힉
...
해탈해 가는 듯
...
이건 루피가챠.
레어2연타는 참 보기 힘들지.
-_-;
해탈한 듯
[마인크래프트] 스포너 개조
램프를 달아서
길목차단용 트랩도어가
어떤 상태인지 알기 쉽게 만들었다.
이런 저런 준비를 해 놨는데
정작 몬스터는 내려올 생각을 안한다.
뭔가 문제가 있는걸까?
뭔가 이상해서
올라가서 뚜껑을 까 봤다.
역시나
물살 흐름에 뭔가 문제가 있다.
저기에 몹이 끼어서 안움직이더라.
어떻게 해결하려고 생각은 해 봤는데
물살을 맞추기가 어려워서
포기.
그냥 원래 하던대로
십자모양으로 개조하기로 했다.
많은 시간을 허비해 버렸다.
결국 이렇게
단순한 모양의
흔한 스포너가 되었다.
다만 길 넓이가 3칸이라는 점이
차이가 있긴 한데
독이 될지 약일 될지
잘 모르겠다.
뚜껑을 덮고 다시 내려가자.
내려가서 테스트 해 봐야지.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최근 게시물
제법 오랜 시간동안 구글 블로거 플랫폼을 이용해 웹로깅을 해 왔는데, 구글은 블로거를 발전시키는데 큰 의지가 없다고 느껴지고 있습니다. 기능의 발전은 없고 종종 에러도 나고 불편함만 늘어나고 있네요. 블로거에 대한 실망감이 점점 높아가고 있습니다. ...
일주일 간 많이 본 글
-
가죽 재배소라니 -_- 그냥 가죽과 고기가 필요해서 낮은 동굴의 논 반대편에 소농장을 만들었다. 간단히 그냥 2칸씩 파내려가서 소들이 못 타게 사다리를 설치했을 뿐이다. 참고: 바닥까지 사다리를 설치해 두면 간혹 소들이 타고 올라오니 조심하자...
-
나약의 포션을 만들려면 일반 포션을 제조해야 되는데 이 일반 포션에는 발효된 거미눈이 필요하다. 이 발효된 거미눈을 만드는데는 노란색(?) 버섯이 필요한데 왜이리 필요하면 안보이냐구! 그래서 위 처럼 지하에 버섯 농장을 ...
-
수직굴을 신나게 파서 광산 입구를 만들었으니 이제 광산을 팔 차례다. 뭐 별거 있나. 그냥 앞으로 쭈욱 파고 들어가기만 하면 된다. 그냥 노가다여서 그렇지. 모장측에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왜 이렇게 아랫 동네에서 직선으로 파고 들어가는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