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13일

[마인크래프트] 계획의 검증

크하하 나이스
정말 무방비로 함정에 걸려든... 걸어들어간다
-_-

거기다 왠지 주민좀비가 굉장히 잘 나오는 기분이다.
벌써 두마리째 납치 성공.

납치한 함정에는
나약의 포션과 황금사과를 써 두고
햇빛을 막아둘 돌을 설치해 둔다.

마치 컵라면 처럼
5~10분 후 가서 뚜껑을 열어보면
짜잔
주민NPC가 쏘옥

함정 만드는건 귀찮지만
이전에 비해 함정으로 유인하는 과정이 너무 편해졌다.

뭐 나름 수정된 계획은 성공했다고 치자.

이제 마을이 살 집을 좀 더 만들어두고
15명 까지만 더 납치해 보자
-_-
근데 귀찮

[마인크래프트] 주민 보완 계획(개)

함정이다.
다락문은 열려있어도
몹들이 무방비로 밟는다는 사실을 활용한
지극히 무식한 함정이다.

그것도 모자라 문도 레버 개폐식이다.

와이~
만드는데 너무 귀찮아

뭐 하여간 잔뜩 만들어 놨다.
언젠간 많이 모을(납치) 수 있겠지?

...

그 전에 주민좀비가 안나온다.
꼭 필요하면 안나와
나와
시험해보게 좀 나와봐!

ㅠㅠ


2015년 11월 12일

[마인크래프트] 주민 보완 계획에 차질 발생

뭐 평범하다면 평범한 사태인데
주민 근처에 좀비들이 몰려온다.

이 정도만 되면 다행이긴 한데,
저 좀비를 처리하다가 주변에서 크리퍼가 몇 번 터졌다.
그래서 살려놓은 (납치해놓은?)
주민들이 다 죽었다.

...

망연자실

...

일단은 계획의 전면 재수정이 필요해 보인다.

[마인크래프트] 버섯을 키우자

나약의 포션을 만들려면
일반 포션을 제조해야 되는데
이 일반 포션에는 발효된 거미눈이 필요하다.

이 발효된 거미눈을 만드는데는 노란색(?) 버섯이 필요한데
왜이리 필요하면 안보이냐구!

그래서 위 처럼 지하에 버섯 농장을 만들었다.

지옥에서 버섯을 약간 채취해서 심어두면
알아서 잘 번식한다.
불만 안켜면 말이지.

그런데 큰 단점이 있었어.
버섯이 안자라.

집에서 너무 먼 곳에 만들어놨어.
근처에서 활동을 안하면
버섯이 안자라.

어휴
-_-

한참 지났는데도 이 상태

이 주변은 땅 파러 가끔 지나가기만 하니
버섯이 너무 안자란다.

그나마 다행인건
많이 필요한건 아니라는 거지.
후훗


2015년 11월 11일

[그랑블루] 카지노 만고불변의 진리

안되는 것 같으면 빨리 털고 일어나라.
그러면 무조건 돈을 벌 수 있다.

안되는걸 괜히 계속 붙잡고 있어봤자
돈만 나간다.

무슨 특별한 공략이 있는게 아니다.
잘 되면 벌리고 잘 안되면 털린다.

그렇다면 잘 안될때 끊으면 된다.
잘 되다가도 안되면 잘 끊으면 된다.

모든 것은 서버의 뜻이다.

-_-

[마인크래프트] 인류...아니 주민 보완 계획

분명히 예전 목표는 NPC마을에서 함께 사는 것이었고
주민이 전멸했을 때 분명 되살려서 다시 살겠다고 했었다.

그 계획을 이제 시작한다.
일명 주민 보완 계획.

위의 사진이 그 첫 번째로 주민좀비를 가두기 위한 감옥이다.

박쥐로 변신해서 날아다니는 잇점을 활용해
좀비를 유인해서 돌로 막아서
가둬버리는
지극히 구식 방식이다.

가둔 좀비가 낮에도 죽지 않도록
돌우산을 만들어 주고 -_-
투척용 나약의 포션을 퍽
하면 나도 나약에 걸린다
야 뭐야

그리고 나약해진 좀비에게
비싸디 비싼 아 비싸 너무 비싸
황금사과를 먹인다.

마치 쉬라도 하는지
좀비가 부들부들 떨기 시작한다.

개운하냐
환영한다 주민

뭐 이런 흐름으로
마을 주민을 10명 이상 늘리면
강철골렘이 생길테니
알아서 잘 살겠지 라고 생각하며
계획을 진행해야지.

2015년 11월 10일

[마인크래프트] 나는 지옥에서 뻘짓 하고 있다

이번에도 또 제정신을 잃었나보다.
정신을 차리고 보니
이런 구조물이 생겨 있었다.

아무리 봐도 성이네 성.

???

마치 시험 준비 기간 동안
딴짓에 집중하게 되는 것 처럼
몬스터 스포너 확장을
일부러 기피하는 듯한
그런 느낌을 받았다.


최근 게시물

제법 오랜 시간동안 구글 블로거 플랫폼을 이용해 웹로깅을 해 왔는데, 구글은 블로거를 발전시키는데 큰 의지가 없다고 느껴지고 있습니다. 기능의 발전은 없고 종종 에러도 나고 불편함만 늘어나고 있네요. 블로거에 대한 실망감이 점점 높아가고 있습니다. ...

일주일 간 많이 본 글